1. 크립
저그는 왼쪽그림과같은 크립이란곳에서 생활한다. 사실 게임에선 크립은 저그가 건물을 지을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저그족은 건물을 꼭 이 크립위가아니면 만들수가 없다. 그러나 이미만들어진건물은 크립이 끊기더라도 별문제가 없다. 프로토스의 파일런 PSI 에너지 공급이 끊기는것과 차이나는점이다.
그리고 다른종족은 이 크립위에 건물을 지을수없다.
재미난것은 같은저그라면 적군크립위에도 자신의 건물을 지을수 있다는것이다.
2. 체력회복
저그의 유닛은 2초마다 1의 체력을 회복한다. 건물도 마찬가지 이다. 만약 체력이 가득차있을때 적의 공격을 받게되면 즉시 1이 회복된다. 단, 죽지안았을경우에 말이다.
3. 바이오니칼 유닛
저그의 모든유닛은 바이오니칼 유닛이다. 이점은 테란의 락다운이 걸리지 않는다는 장점아닌 장점도 될수있지만, 역으로 사이언스 베슬의 이레디에이트와 다크아콘의 마엘스톰에 취약하다는 단점으로도 작용한다. 만약 동맹에 테란이있다면 저그의 지상군은 메딕의 힐을 받을수있다는것을 생각해두자.
4. 버로우
저그의 대부분의 유닛은 버로우를 할수있다. 물론 못하는유닛도있지만 거의다 사용할수있는 광범위한 능력이다. 초창기 오리지날때는 저글링, 히드라리스크를 땅에 숨겨 매복시키는 기술도 있었다만... 요즘엔 보통 러커만 땅을판다. 밴치능력으로 변해버린 저그의 불운한 대표능력.
5. 건물변신
종족마다 조금씩 틀린 건물건설 방식이있는데, 저그는 드론이 건물로 변신하는 방식이다. 저그건물은 드론의 희생으로 건설되며 당연히 드론이 차지하고있던 인구 1은 돌려받게 된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저그건물은 크립위에 만 건설할수있다.
저그족은 건물을 꼭 이 크립위가아니면 만들수가 없다. 그러나 이미만들어진건물은 크립이 끊기더라도 별문제가 없다. 프로토스의 파일런 PSI 에너지 공급이 끊기는것과 차이나는점이다.
그리고 다른종족은 이 크립위에 건물을 지을수없다.
재미난것은 같은저그라면 적군크립위에도 자신의 건물을 지을수 있다는것이다.
2. 체력회복
저그의 유닛은 2초마다 1의 체력을 회복한다. 건물도 마찬가지 이다. 만약 체력이 가득차있을때 적의 공격을 받게되면 즉시 1이 회복된다. 단, 죽지안았을경우에 말이다.
3. 바이오니칼 유닛
저그의 모든유닛은 바이오니칼 유닛이다. 이점은 테란의 락다운이 걸리지 않는다는 장점아닌 장점도 될수있지만, 역으로 사이언스 베슬의 이레디에이트와 다크아콘의 마엘스톰에 취약하다는 단점으로도 작용한다. 만약 동맹에 테란이있다면 저그의 지상군은 메딕의 힐을 받을수있다는것을 생각해두자.
4. 버로우
저그의 대부분의 유닛은 버로우를 할수있다. 물론 못하는유닛도있지만 거의다 사용할수있는 광범위한 능력이다. 초창기 오리지날때는 저글링, 히드라리스크를 땅에 숨겨 매복시키는 기술도 있었다만... 요즘엔 보통 러커만 땅을판다. 밴치능력으로 변해버린 저그의 불운한 대표능력.
5. 건물변신
종족마다 조금씩 틀린 건물건설 방식이있는데, 저그는 드론이 건물로 변신하는 방식이다. 저그건물은 드론의 희생으로 건설되며 당연히 드론이 차지하고있던 인구 1은 돌려받게 된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저그건물은 크립위에 만 건설할수있다.